꿈꾸는 청소년, 활동하는 청소년!

청소년은 대한민국의 미래를 열어나갈 꿈과 희망입니다.

정책제안

  • 열린마당
  • 정책제안
인쇄
디지털 헬스 기반 마을건강센터 조성
  • 이름 최O진
  • 작성일 2025-05-21
  • 조회 104
  • 영역 복지
  • 제안이유 부산시가 생활체육 천국 도시를 실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공공체육시설이 부족하고 접근성이 낮다는 점은
    생활체육정책이 제대로 실현도지 않다고 생각한다. 시민들이
    체육시설을 이용하기 위해 예약 경쟁을 벌이거나 시설 부족으로
    운동 기회를 잃고 있는 현실은 단순한 불편함을 넘어서 건강
    불균형을 심화시키는 원인이다라고 생각한다.따라서
    공공체육시설의 확립과 기존 건강센터를 생활체육공간으로 확장을
    해야한다고 생각한다.
  • 제안내용 생활체육과헬스케어 통합 마을플랫폼 구축 사업은 지역 내
    건강 불균형과 생활체육시설의 공간적 격차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통합형 정책이기에 이 정책은 실제 주민들이
    운동할 수 있는 공간과 체육 활동을 함께할 수 있는 공간을
    위함이다 첫번째로 기존 건강센터나 많이 사용되지 않는
    공공시설에 소규모 생활체육 공간을 함께 조성함으로써 공간
    접근성을 강화한다 (ex:건강센터 인근 부지나 옥상 공간에
    걷기 트랙,실외 운동기구,간이 체육장 등을 설치하여 주민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또한 인력 통합
    전략을 통하여 헬스케어 전문가뿐만이 아니라
    생활체육지도사,운동처방사 등을 활용하여 건강 상담과 운동
    실천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이렇게 배치된 전문가들은
    주민의 건강상태에 따라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을 직접
    설계하고 지도하도록 한다 (ex:주민 개인의 운동루틴 짜주기
    고혈압 주민-> 매주 2회 저강도 요가와 혈압측정등) 따라서
    생활체육과헬스케어 통합 마을플랫폼은 건강과 체육을 서로
    나눠진 서비스가 아닌 하나의 흐름으로 합침으로써 지역 내
    건강 격차를 줄이고 생활 속 운동 문화를 정착시킬 수 있는
    방안이다.
  • 기대효과 생활체육과헬스케어 통합 마을플랫폼 구축을 통해 기대할 수
    있는 가장 큰 효과는 지역 간 생활체육시설의 불균형
    해소이다.공터,유휴부지,건물 옥상,지하 공간 등 활용되지
    않던 도시 자원을 체육 자산으로 바꿔주는 전환점생활권으로
    지역 내 주민들의 체육 접근성을 높여주고 소규모 공간은
    주민이 주도해 운영하는 커뮤니티 체육활동에 최적화되어
    있어 마을 걷기 모임,요가 클래스,스트레칭반 같은
    생활밀착형 체육문화 형성에 유리하다. 기존에는 특정
    지역에만 체육 인프라가 집중되었지만 이 정책을 통해
    건강,체육시설 취약지 중심의 보건시설에 체육 기능을
    융합함으로써 체육과 건강을 더욱 확실히 챙길 수 있게
    되고이 정책은 단순한 운동 공간 제공을 넘어서 주민
    개개인의 건강 상태에 맞는 맞춤형 운동을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예방 중심의 건강관리 체계를 실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역 주민들의 만성질환의 발생률을 낮추고
    지역 전체의 건강 수준을 끌어올리는 긍정적 효과가 기대된다
    예방 중심 건강관리와 꾸준한 운동 실천은 병원 진료나
    약물치료의 빈도를 줄일 수 있게 되고 이 플랫폼이 건강과
    체육이라는 두 영역을 통합함으로써 더 이상 각자 따로
    나누어져있는 서비스가 아닌 하나의 연속된 건강생태계를
    실현한다는 점을 도출해낼 수 있다.